일본뇌염 모기 출몰 시작? 일본뇌염 예방접종 하세요!! 사백신 생백신 차이?
어제 비가 온 이후로 기온이 다소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제주와 전남에서는 벌써 일본뇌염을 일으키는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27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일본 뇌염은 건강한 사람은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치명적이라 주의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본뇌염과 예방접종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사백신과 생백신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본뇌염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이 모기는 평균적으로 3월 말부터 늦은면 9월까지 활동하며 주로 집에서 발견됩니다. 일반 모기에 비해 크기가 약간 작은 편이며 몸통이 검은색 바탕에 흰색 무늬가 특징이며, 다리에도 흰 띠가 있습니다.
작은빨간모기에 물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건강한 일반 사람은 대부분 증상이 없는 무증상이거나 발열이나 두통 등의 가벼운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드물게 경련, 혼수, 고열, 착란, 경련, 뇌성마비, 지능장애 등을 일으키는 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잠복기간은 물린 이후 5 ~ 15일 뒤에 증상이 나타나며, 뇌염에 걸린 환자 10명 중 1 ~ 2명이 사망하며, 뇌염이 완치가 되더라도 10명 중 3 ~ 5명이 신경성 합병증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일본뇌염에 걸리면 특별한 치료 방법이 아직까지 없으며 영양조절, 항경련제 등의 일반적인 대중요법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그래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국가필수예방접종에 해당하므로 2012년 이후 출생자는 지정의료기관이나 보건소 등에서 무료로 접종이 가능합니다.
예방접종 백신에는 불활성화 백신과 약독화 생백신이 있습니다.
- 불활성화 백신 : 총 5회 접종으로, 생후 12 ~ 23개월에 1차를 맞고 1개월 이내에 2차, 1년 후 3차 총 3회 기초 접종을 받고, 만 6세에 4차, 만 12세에 5차까지 무료로 추가 접종을 받습니다. 성인의 경우 기초 접종인 3회만 접종하며 유료입니다.
- 약독화 생백신 : 아기의 경우 무료이며 총 2회 접종합니다. 출생 후 12 ~ 23개월에 1차 접종을 하고 1년 후 2차 접종을 받습니다. 18세 이상은 1회만 접종하며 당연히 유료입니다.
일본 뇌염 백신은 90%이상의 효과를 보이며 특히 불활성화 백신은 좀 더 높은 예방 효과가 보고되었습니다.
영유아의 경우 의무적으로 예방접종을 해야 하며, 성인은 작은빨간집모기가 주로 출몰하는 논이나 돼지 축사가 있는 지역에 거주 하거나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한적이 없거나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태국, 필리핀, 일본 등에 여행 계획이 있다면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가격은 병원마다 차이가 있으며 백신에 따라 38,000원에서 70,000원 정도합니다.
일본뇌염 사백신과 생백신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예방접종 백신은 2가지 입니다. 불활성화 백신은 사백신이며, 약독화 생백신은 생백신입니다. 사백신은 죽은 바이러스을 사용해 만든 백신으로 면역 형성까지 오래 걸리며 안전성도 높습니다.
반면 생색신은 살아있는 백신을 약화시켜 만든 백신으로 2회만 접종하며 면역 형성이 빠르지만 드물게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본 뇌염은 치료제가 없으므로 예방이 최선입니다. 예방 접종을 물론이고 더운 여름의 야간에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작은빨간집모기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거나 긴팔, 긴바지를 착용하기를 권장합니다. 지금까지 일본뇌염과 예방접종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사백신과 생백신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 안 좋으면 생기는 이상 증상과 신장에 좋은 음식 10가지 (0) | 2025.04.01 |
---|---|
신장 안좋을면 먹는 신장에 좋은 과일과 신장에 좋은 차!! (0) | 2025.03.28 |
피부 개선에 좋은 로즈마리 자몽 추출물의 3가지 효능과 부작용은? (0) | 2025.03.27 |
삼킴장애라는 연하곤란의 뜻과 증상, 권장 연하곤란식은? 점도증진제 (0) | 2025.03.27 |
난각막(NEM)과 난각막가수분해물 차이와 뜻은?효능과 부작용 비교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