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삼킴장애라는 연하곤란의 뜻과 증상, 권장 연하곤란식은? 점도증진제

by saengsanegview 2025. 3. 27.
반응형
삼킴장애라는 연하곤란의 뜻과 증상, 권장 연하곤란식은? 점도증진제

연하곤란뜻

식사 중에 음식을 삼키기 어렵거나 목에 걸리는 불편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러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삼킴장애 또는 연하곤란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연하곤란은 단순히 불편함을 넘어 생명과도 연관되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질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하곤란의 뜻과 증상 그리고 권장하는 연하곤란식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제로 사용되는 점도증진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하곤란(삼킴장애) 뜻

연하곤란삼킴장애 또는 연하장애라고도 하며 한자(嚥下) 그대로 음식을 몸 아래로 삼키기 곤란한 질환입니다.  물만 마실 수 있는 기계적 연하곤란과 물 포함 모든 음식을 삼키지 못하는 동성 연하곤란이 있습니다.

 

연하곤란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며, 뇌졸증, 파킨슨병, 외상성 뇌손상 등의 신경계 관련 질환이 있거나 인후염, 편도선염, 식도염 등의 염증이나 감염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노화로 인해 고령자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연하곤란뜻

 

연하곤란(삼킴장애) 증상

연하곤란의 증상은 음식을 삼키지 못하고 통증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음식을 삼키더라도 식도로 가지 않고 기도로 넘어 갈 수 있습니다. 이 때가 가장 위험하여 질식사를 하거나 음식물이 폐까지 넘어가게 되면 폐에 염증이 생기는 흡인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사례가 잘 걸려 음식물이 목에 걸린 듯한 느낌이 자주 발생합니다. 식사를 하지 못하니 연하곤란이 지속될 경우 체중이 감소하고 영양실조에 걸릴 위험도 올라갑니다.

연하곤란뜻

 

연하곤란식(점도증진제)

연하곤란 환자는 음식물을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특별히 조리된 연하곤란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연하곤란식이란 음식의 질감과 농도와 온도를 저절하여 삼킴을 편하게 만든 식단으로 흡인성 폐렴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하곤란식은 부드럽게 잘 다져진 음식이 좋으며, 뜨겁거나 차갑지 않고 수분이 풍부한 영양식이어야 합니다. 이나 미음, 퓨레 , 젤리 또는 푸딩 같은 음식이 좋으며 점도 증진제를 활용하여 삼키기 쉽도록 만들어도 됩니다. 

 

점도증진제는 연하곤란 환자에게 알맞은 음식이나 음료가 되도록 점도를 올려주는 식품 첨가물입니다. 점도증진제은 검(gum)이나 녹말을 이용해 만들며 점도를 증가 시키는 성분입니다. 검(gum)구아검, 잔탄검의 배아를 분쇄하여 생성된 것으로 물에 녹지 않으며 소화도 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녹말은 전분류의 일종으로 침과 반응하여 점도를 증가해줍니다.


연하곤란 환자는 최대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식사를 해야하며, 최대한 천천히 섭취해야 합니다. 연하곤란은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한 질환입니다. 지금까지 연하곤란의 뜻과 증상 그리고 권장하는 연하곤란식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제로 사용되는 점도증진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