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RH+ RH- 혈액형, ABO식 혈액형 차이 비교!!O형, A형, B형, AB형

by saengsanegview 2025. 3. 5.
반응형
RH+ RH- 혈액형, ABO식 혈액형 차이 비교!!O형, A형, B형, AB형

RH+_RH-

사람 뿐 아니라 모든 동물의 몸에는 피가 흐릅니다. 피는 산소와 영양소 그리고 노폐물을 운반하는 액체입니다. 이 피는 항원의 조합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RH+, RH-혈액형과 ABO식 혈액형에 대해 알아보고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ABO식 혈액형

ABO식 혈액형은 가장 일반적은 혈액형 분류 방법입니다. A형, B형, O형, AB형으로 분류되며, RH식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혈구 표면의 항원에 따라 그리고 혈액 속의 항체에 따라 혈액형이 정해집니다.

 

적혈구의 표면에 A항원이 있으면 A형, B항원이 있으면 B형, A, B항원 모두 가지고 있으면 AB형, 두 항원 모두 없으면 O형이 됩니다. 반대로 혈액에 A항원이 있으면 B형, B항원이 있으면 A형, 두 항체 모두 없으면 AB형, 두 항체 모두 있으면 O형입니다.

  • A형 : 혈액에 B항체, 적혈구 표면에 A항원을 가짐
  • B형 : 혈액에 A항체, 적혈구 표면에 B항원을 가짐
  • O형 : 혈액에 A, B항체 모두 가지고 있고, 적혈구 표면에 A, B 항원이 없음
  • AB형 :  혈액에 A, B항체 모두 없으며, 적혈구 표면에 A, B항원을 가지고 있음

항체가 서로 다른 A형과 B형은 서로 수혈을 할 수 없습니다. 모든 항체가 있는 O형은 모든 혈액형에게 수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O형은 O형에게만 수혈이 받을 수 있습니다. AB형의 경우 모든 혈액형으로부터 수혈을 받을 수 있지만 AB형에게만 수혈을 할 수 있습니다.

RH+_RH-

 

Rh식 혈액형

Rh식 혈액형은 ABO식 혈액형과 함께 수혈에 중요한 기준입니다. Rh+형와 Rh-형이 있으며, 적혈구 막의 항원이나 항원결정인자에 의해 D, C, c, E, e 등의 항원으로 나누며 적혈구 세포막에 각각의 항원이 있는지로 분류합니다. 1940년에 카를 란트슈타이너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항혈청을 얻기 위한 동물인 히말라야 원숭이(Rhesus macaque)의 앞글자에서 명칭이 유래하였습니다. 

 

지구에서 85% 정도의 사람이 Rh+형를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15%만 Rh-형입니다. 국내에는 Rh-형을 가진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Rh-형은 항원 D가 없는 혈액형이며 Rh+형은 항원 D가 있는 혈액형입니다. Rh+형은 Rh+형끼리, Rh-형은 Rh-형끼리 서로 수혈이 가능합니다.

 

Rh-형은 항원 D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어서 Rh+혀의 혈액을 수혈 받을 수 없습니다. 반대로 Rh+형 역시 Rh-형 혈액을 수혈 받을 수 없지만 소량 수혈만 받을 수 있습니다.

RH+_RH-


혈액형은 수혈 뿐 아니라 임신이나 장기이식 등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기에 자신의 혈액형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형 검사는 가까운 내과나 보건소에서 할 수 있으며 비용은 1 ~ 2만원 정도입니다. 지금까지 RH+, RH-혈액형과 ABO식 혈액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